댓글 쓰기 권한이 없습니다. 로그인 하시겠습니까?
고전(古典)
2012.12.04 23:19
고전 베스트명언(2)
댓글 0조회 수 1182추천 수 0
일(一)에 통하면 만사를 마치고 마음을 비우면 귀신도 복종한다. -도가귀감
물(物)에 자기를 잃고 세속 일에 본 성품을 잃으면 거꾸로 된 백성이라 한다. -도가귀감
남과 말하는 데서 수양이 얕고 깊은 것을 알 수 있다. -유가귀감
쉬운 일도 신중히 하고, 곤란한 일도 겁내지 말고 해보아야 한다. 첫 고비를 두려워하기 때문에 능히 할 만한 일을 어렵다고 해서 하지 않는다. -채근담
일이 빨리 이루어지기를 바라지 말고 작은 이익에 얽매이지도 말라. 일이 빨리 끝내기를 바라다보면 완벽할 수가 없으며, 작은 이익에 얽매이다 보면 큰 일을 이루지 못한다. -공자
다른 사람을 아는 것은 지식이다. 나를 아는 것은 진정한 지혜이다. 다른 사람을 지배하는 것은 힘이다. 나를 지배하는 것은 진정한 능력이다. -노자
어떤 사람이 도끼를 잃어버리고 이웃집 아들을 의심하였다. 걸음걸이를 보아도 도끼를 훔친 것 같았다. 안색을 보아도 도끼를 훔친 것 같았고, 말투를 들어보아도 도끼를 훔친 것 같았다. 얼마 후에 골짜기를 지나다가 그는 잃었던 도끼를 찾았다. 다음날 이웃집 아들을 보니 동작과 태도가 전혀 도끼를 훔친 사람과는 거리가 멀었다. -열자(列子)
모든 사람에게 좋은 소리를 듣는 사람이 좋은 사람이 아니라, 좋은 사람에게는 좋은 소리를 듣고, 나쁜 사람에게는 나쁜 소리를 듣는 사람이 좋은 사람이다. -공자
지(志)는 기(氣)의 스승이다. 기(氣)는 몸의 충(充)이다. 그 지(志)만 좇으면 기(氣)는 병행해 따라간다. -노자
어떤 일이든 그대로 내버려두고 마음을 자유롭게 하라. 무슨 일이든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고 중심을 차지하라. 이것이 궁극적인 것이다. -장자
다른 사람의 장점을 본받고자 하는 사람은 이미 많은 장점을 갖춘 사람이다. -공자
능히 사람을 미워할 수 있는 자만이 가장 어진 사람이다. 사귀지 말아야 할 사람을 선별하거나 물리치지 못하는 사람은 좋은 인간관계를 갖기 어렵다. 이런 사람은 남에게 신용을 얻을 수 없을 뿐만 아니라, 스스로 자신을 망치게 된다. -논어
자기를 구부려 남을 바로잡은 사람은 아직 없었다. -맹자
수신제가치국평천하(修身齊家治國平天下). 세상을 바로잡으려면 먼저 나라를 바로잡아야 한다. 나라를 바로잡으려면 먼저 집안을 바로잡아야 한다. 집안을 바로잡으려면 먼저 자신을 바로잡아야 한다. 자신을 바로잡으려면 먼저 마음을 바로잡아야 한다. -공자
누군가를 깊이 사랑하면 힘이 생긴다. 그리고 깊이 사랑받으면 용기가 생긴다. -노자
소인(小人)은 모든 일을 남의 탓으로 돌리고, 군자(君子)는 모든 일을 자기 탓으로 돌린다. -공자
만족함을 아는 자는 풍족하다. -노자
큰 꿈을 갖는 것은 즐거움이다. -공자
깨달음을 얻는 데는 나름대로의 길이 있다. 그리고 그 길에는 즐거움이 따른다. -퇴계 이황
진리는 하나인데 현자들은 여러 가지로 말한다. -리그 베다(인도 고전)
물(物)에 자기를 잃고 세속 일에 본 성품을 잃으면 거꾸로 된 백성이라 한다. -도가귀감
남과 말하는 데서 수양이 얕고 깊은 것을 알 수 있다. -유가귀감
쉬운 일도 신중히 하고, 곤란한 일도 겁내지 말고 해보아야 한다. 첫 고비를 두려워하기 때문에 능히 할 만한 일을 어렵다고 해서 하지 않는다. -채근담
일이 빨리 이루어지기를 바라지 말고 작은 이익에 얽매이지도 말라. 일이 빨리 끝내기를 바라다보면 완벽할 수가 없으며, 작은 이익에 얽매이다 보면 큰 일을 이루지 못한다. -공자
다른 사람을 아는 것은 지식이다. 나를 아는 것은 진정한 지혜이다. 다른 사람을 지배하는 것은 힘이다. 나를 지배하는 것은 진정한 능력이다. -노자
어떤 사람이 도끼를 잃어버리고 이웃집 아들을 의심하였다. 걸음걸이를 보아도 도끼를 훔친 것 같았다. 안색을 보아도 도끼를 훔친 것 같았고, 말투를 들어보아도 도끼를 훔친 것 같았다. 얼마 후에 골짜기를 지나다가 그는 잃었던 도끼를 찾았다. 다음날 이웃집 아들을 보니 동작과 태도가 전혀 도끼를 훔친 사람과는 거리가 멀었다. -열자(列子)
모든 사람에게 좋은 소리를 듣는 사람이 좋은 사람이 아니라, 좋은 사람에게는 좋은 소리를 듣고, 나쁜 사람에게는 나쁜 소리를 듣는 사람이 좋은 사람이다. -공자
지(志)는 기(氣)의 스승이다. 기(氣)는 몸의 충(充)이다. 그 지(志)만 좇으면 기(氣)는 병행해 따라간다. -노자
어떤 일이든 그대로 내버려두고 마음을 자유롭게 하라. 무슨 일이든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고 중심을 차지하라. 이것이 궁극적인 것이다. -장자
다른 사람의 장점을 본받고자 하는 사람은 이미 많은 장점을 갖춘 사람이다. -공자
능히 사람을 미워할 수 있는 자만이 가장 어진 사람이다. 사귀지 말아야 할 사람을 선별하거나 물리치지 못하는 사람은 좋은 인간관계를 갖기 어렵다. 이런 사람은 남에게 신용을 얻을 수 없을 뿐만 아니라, 스스로 자신을 망치게 된다. -논어
자기를 구부려 남을 바로잡은 사람은 아직 없었다. -맹자
수신제가치국평천하(修身齊家治國平天下). 세상을 바로잡으려면 먼저 나라를 바로잡아야 한다. 나라를 바로잡으려면 먼저 집안을 바로잡아야 한다. 집안을 바로잡으려면 먼저 자신을 바로잡아야 한다. 자신을 바로잡으려면 먼저 마음을 바로잡아야 한다. -공자
누군가를 깊이 사랑하면 힘이 생긴다. 그리고 깊이 사랑받으면 용기가 생긴다. -노자
소인(小人)은 모든 일을 남의 탓으로 돌리고, 군자(君子)는 모든 일을 자기 탓으로 돌린다. -공자
만족함을 아는 자는 풍족하다. -노자
큰 꿈을 갖는 것은 즐거움이다. -공자
깨달음을 얻는 데는 나름대로의 길이 있다. 그리고 그 길에는 즐거움이 따른다. -퇴계 이황
진리는 하나인데 현자들은 여러 가지로 말한다. -리그 베다(인도 고전)
번호 | 분류 | 제목 | 글쓴이 | 날짜 | 조회 수 |
---|---|---|---|---|---|
5 | 고전(古典) | 고전 베스트명언(1) | maximlee | 2012.12.04 | 1488 |
» | 고전(古典) | 고전 베스트명언(2) | maximlee | 2012.12.04 | 1182 |
3 | 고전(古典) | 고전 베스트명언(3) | maximlee | 2012.12.04 | 1542 |
2 | 고전(古典) | 고전 베스트명언(4) | maximlee | 2012.12.04 | 1182 |
1 | 고전(古典) | 고전 베스트명언(5) | maximlee | 2012.12.04 | 1249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