거허박영( 據虛搏影 ).
<=> [ 어떻게 할 수 없는 것. ]
건목수생( 乾木水生 ).
<=> [ 마른 나무에서 물을 짜 내려한다. 엉뚱한 곳에서 불가능한 일을 이루려 한다. ]
마생각( 馬生角 ).
<=> [ 말에 뿔이 나다. ]
묘두현령( 猫頭縣鈴 ).
<=> [ 고양이 목에 방울 달기. 실행할 수 없는 쓸모없는 공론을 일컫는 말. ]
무소불위( 無所不爲 )
<=> [ 못할 짓이 없다. ]
백년하청( 百年河淸 ).
<=> [ 황하의 물이 맑기를 무작정 기다린다는 고사에서 나온 것으로 아무리 바라고 기다려도 실현 가망이 없음을 이르는 말. 천년일청( 千年一淸 ). ]
사상누각( 沙上樓閣 ).
<=> [ 모래 위에 세운 누각이라는 뜻으로, 겉모양은 번듯하나 기초가 약하여 오래 가지 못하는 것. 또는 실현 불가능한 일 따위를 비유하여 이르는 말. ]
상산구어( 上山求魚 ).
<=> [ 산 꼭대기에서 물고기를 구하려하다. 엉뚱한 곳에서 되지 않을 것을 구하는 것을 일컫는 말. ]
사어지천( 射魚指天 ).
<=> [ 물고기를 쏘려는데 하늘에다 겨눔. ]
건목수생( 乾木水生 ).
<=> [ 마른 나무에서 물을 짜내려함. ]
이열치열( 以熱治熱 ).
<=> [ 열로써 열을 다스림. ]
연목구어( 緣木求魚 ).
<=> [ 나무에 올라 고기를 구하듯 불가능한 일을 하려고 함. ]
지천사어( 指天射魚 ).
<=> [ 하늘을 보고 고기를 쏘다. 불가능한 일을 하려고 함을 비유. ]
천년일청( 千年一淸 ).
<=> [ 중국의 황하의 탁류가 맑아지기를 바란다. 이루기 가능하지 않은 일을 바라는 것을 비유. 황하천년일청( 黃河千年一淸 ). ]
탁상공론( 卓上空論 ).
<=> [ 실현성이 없는 공상론. 궤상공론. ]
황하천년일청( 黃河千年一淸 ).
<=> [ 황하가 천 년에 한 번 맑다. 아무리 바라고 기다려도 실현 가망이 없음을 이르는 말. 천년일청( 千年一淸 ). ]